CHILD CARE NEWS
육아뉴스

  • 일일 편성표
  • 지역별 채널안내
  • VOD 보기 해당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광고 안내 광고제휴하기

대한민국 육아의 시작과 끝, 육아방송 북스탠드

  •  > 
  • 육아뉴스
  •  > 
  • 북스탠드
2 thumb51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추천도서]
오잉?
홍원표 지음 | 웃는돌고래 | 2016오잉? 이 의성어의 울림이 자못 탄력 있고 경쾌하다. 뭔가 뜻밖의 일을 만났을 때 약간의 놀라움과 즐거움을 담아 발하는 탄성이니, 이야기는 흥겹고 재미있을 것 같다. 별이 빛나는 밤하늘을 배경으로 작은 분화구 같은 구멍 속에서 아이와 강아지가 머리를 내밀고 있는 걸 보니, 이 아이들이 달나라에라도 온 모양이다.   표지에서 걸게 되는 독자의 이런 기대는 충실히 채워진다. 숨바꼭질하던 아이와 강아지가 두더지 친구를 따라 굴속으로 들어가니 나오게 되는 데가 달이라는 것이다. 아이들은 통통, 폴짝, 두둥실, 하늘을 마음껏 뛰어오르고 날아오른다. 그림책의 특별한 장점, 아이들의 감각을 직접 건드리고 터뜨려서 마음껏 해방감을 느끼게 만드는 기능이 한껏 발휘된다. 그뿐인가, 아이들은 할머니, 엄마, 누나에서 고양이와 금붕어까지, 온 가족을 데려와 함께 뛴다. 주머니에 들어 있던 귤 하나를 심으니 금세 나무가 무럭무럭 자라고 과일이 주렁주렁 달려 모두들 맛있게 먹는다. 거기서 끝이 아니다. 이 가족이 돌아가고 난 뒤 토끼와, 눈사람 같기도 하고 오뚝이 같기도 한 캐릭터들로 이루어진 달나라 주민들이 여전히 주렁주렁 달린 귤을 함께 즐긴다.   만화 풍의 화면 구성, 동글동글 보드랍고 귀여운 캐릭터들, 아이들 그림 같은 단순한 선으로 표현되는 티 없는 표정과 동작들이 보는 이들의 마음을 나긋하게 풀어준다. 이 부드러움과 흥겨운 해방감이 전면에 나서는지라, 달나라에 와서 마음껏 뛰어오르는 가족들이, 허리 굽은 할머니와 만삭의 엄마와 휠체어에 앉은 누나 그리고 다리 다친 고양이라는, 몸 움직이기가 불편한 존재들이라는 사실은 살짝 가려진다. 두 번째 들여다볼 때에야 아, 이런 배려가 들어 있구나 하고 깨닫게 된다. 호들갑스레 나서지 않는 이 배려에 마음이 더 깊이 따뜻해진다.   우주는, 물리적으로는 무서운 곳이다. 공기도 없고, 어떤 곳은 너무 뜨겁고 어떤 곳은 너무 차갑다. 첨단 보호 장비 없이는 한 발짝도 내디딜 수 없는 곳이다. 이 무서운 우주를 작고 동그랗고 부드러운 캐릭터들의 행복한 웃음과 따뜻한 마음이 가득 채운다. 후광이 드리워진 귤나무의 환한 색깔과 새콤달콤할 귤 맛도 함께 그곳을 채운다. 차갑고 무서운 우주를 즐거운 놀이터로 바꾸는 그림책의 힘이다. 그러니 그림책으로 지구를 바꿀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게 터무니없는 망상만은 아닐 것이다.                                  
2016-03-14
1 thumb50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추천도서]
유대인의 밥상머리 자녀교육법
이대희 지음 |  베이직북스 |  2016   자녀교육은 한국부모의 최대이슈이자 생존이유다 . 이상하리만큼 자녀성공에 사활을 건다 . 상식초월의 이상 현상까지 비일비재다 . 모든 걸 먹어치우는 사교 육 붐은 그 절정 . 그래서 부모는 숙명처럼 전력질주 를 반복한다 . 숨이 목 끝에 차올라도 자녀성공의 마 법주문만 외면 참아낼 수 있다 . 데드라인도 없다 . 그 런데 의문 하나 . 과연 이 선택은 남는 장사일까 . 다른 건 빼더라도 일단 가성비가 확실히 떨어졌다 . 예전엔 몰라도 이젠 밑지는 장사다 . 저성장 · 재정난 · 인구병 등 거시악재가 고성장식 성공모델에 종지부를 찍었다 . 바늘구멍이 좁아졌을 뿐더러 통과한들 성공인생을 보장해주지 않는다 . 내로라는 학벌조차 취업난은 매한가지다 . ‘ 스펙 = 성공 ’ 마저 의심받는다 . 상황이 달라진 것이다 . 그럼에도 부모라면 자녀행복을 고대하지 않을 수 없는 법 . 묘안은 뭘까 .     인간성이다 . 먼저 인간이 되도록 가르치는 게 케케묵은 , 그럼에도 안 통하는 유물적 성공루트보다 낫다 . 공부만 잘해서 앞서가기 힘든 시대다 . 우리도 이젠 성공이 아닌 행복을 따질 때가 됐다 . 책은 그 실천방법으로 밥상머리 인성교육을 제기한다 . 인간교육을 통해 행복에 다가설 필요를 역설한다 . 이를 위해 필요한 게 사람 , 밥 , 대화이고 , 그 실현무대를 밥상머리로 본다 . 세계최강이라 불리는 유대인의 DNA 도 밥상머리에서 진화 · 축적됐다는 경험적인 근거자료를 덧붙인다 . 사실상 한국사회의 불행지표를 해결할 최소공간이 밥상머리인 셈이다 . 유대인의 밥상머리 교육을 말하지만 한국인답게 한국식으로 재구성한 게 돋보인다 . 특히 익숙하지 않은 가족이면 실천단계별로 매뉴얼을 고안 · 정리한 부분이 도움이 될 듯하다 . 밥상머리 교육이란 게 이렇듯 다양하고 체계적일 수 있다는 점이 재미나다 . 낯설고 작위적인 내용이 없진 않지만 크게 걸리진 않는다 . 물론 부담스럽다 . 혼밥 ( 獨食 ) 이 판치는 각박한 시대환경 탓이다 . 맞벌이 회사인간에게 밥상머리 교육은 그림의 떡 아니던가 . 그럼에도 해보자 권하고프다 . 어쩌면 이 작은 시도가 달라진 시대 , 자녀의 행복인생을 위한 밀알이 될 수 있으니 말이다 .   
2016-03-14